' ' ' ' ' ' ' ' ' ' ' '

보령아이맘셀

  • 왜 보령 아이맘셀인가
  • 홍보관
    • 보도자료
    • 영상자료
  • 보령제약 그룹 소식

제대혈

  • 제대혈
    • 제대혈 이란?
    • 제대혈 보관 필요성
    • 제대혈 이야기
    • 제대혈 이식 VS 골수이식
  • 상품안내
    • 제대혈 상품 프로그램
    • G스케닝이란?
    • 병원소개
    • 아이맘 프리미엄
  • 기증 제대혈
    • 기증 제대혈이란?
    • 기증 제대혈 VS 가족 제대혈
    • 운영사례
    • 카톨릭 조혈모세포은행
  • 치료질병
  • 이식사례
  • 자료실

보관프로세스

  • 신청 절차
  • 채취 과정

제대혈 보관 연장 서비스

고객센터

  • 아이맘
  • 온라인상담
  • 연구소견학
  • 자료요청
  • FAQ
  • 오시는 길

마이페이지

  • HOME
  • >
  • 제대혈
  • >
  • 이식 사례

제대혈 이식은 1988년 프랑스의 Dr.Gluckman이 판코니빈혈 환자에게 처음으로 실시하여 성공을 거둔 이후 그 효용성이 지속적으로 입증되면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30여 개의 제대혈은행이 운영되고 있는 미국을 비롯해 세계에서 가장 큰 제대혈은행 네트워크인 NetCord 및 유럽 각지를 연결한 Eurocord, 이탈리아의 Grace 등을 중심으로 상호 정보 제공 및 활발한 이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대략 1만 여 건 이상이 시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미국이나 유럽보다 제대혈 이식의 역사는 짧지만 1999년 4월 제대혈 이식의 보험적용이 이루어지면서 이식건수가 크게 증가, 전국 11개 제대혈은행 네트워크(JCBBN)를 통해 약 10,000건 이상의 이식이 이루어졌습니다.
아울러 2004년 이후 현재까지 7천여 건으로 8년 간 매년 700~1,000unit 이상 지속적인 이식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는 1996년 처음으로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진단을 받은 7세의 남자 환아에게 동생의 제대혈 줄기세포 이식이 이루어진 이후 2011년까지 약 1,000여 건 이상이 시술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식현황 이식 구분
자가 및 가족제대혈 조혈모세포 백혈병(4건)
재생불량성빈혈(8건)
신경모세포종(4건)
만성 육아종(1건)
림프종(1건)
기타(2건)
임상연구(줄기세포) 뇌성마비(75건)
발달장애(49건)
자폐증(4건)
뇌경색, 뇌손상(4건)
발달지연(35건)
사립체근병(1건)
기타(2건)
기증제대혈(비혈연) 조혈모세포 백혈병(400건)
재생불량성빈혈(24건)
판코니빈혈(11건)
골수이형성증후군(17건)
림프조직구증식증(8건)
신경모세포종(3건)
만성 육아종(2건)
기타(38건)
임상연구(줄기세포) 뇌성마비(560건)
뇌졸증,뇌경색 등 신경계(145건)
기타(108건)
발달지연(35건)
자폐증(2건)
소아마비(2건)
  • ▲국내 가족/기증제대혈은행 홈페이지 이식 사례 데이터 참고, 2020년 상반기
  • ※ 가족및 기증제대혈 이식 데이터 비율, 조혈모세포이식 33.9%, 줄기세포이식 (임상연구) 66.1%
조혈모세포이식(368건) 줄기세포이식(임상연구, 786건)
백혈병(104건)
중증성지중해빈혈(78건)
겸상적혈구빈혈(79건)
재생불량성빈혈(25건)
판코니빈혈(15건)
신경모세포종(3건)
다이아몬드블랙판빈혈(11건)
림프종(3건)
골수이형성증후군(4건)
만성육아종(10건)
원시신경종양(1건)
중증복합면역결핍증(4건)
헌터증후군(3건)
면역/대사장애 유전성 질환 등(28건)
뇌성마비(302건)
자폐증(278건)
뇌경색, 뇌손상, 뇌졸중, 뇌종양(69건)
발달장애(15건)
수두증(45건)
실행증(33건)
1형당뇨병(19건)
난청(12건)
허혈성저산소뇌병증(4건)
뇌실주위백질연화증(2건)
기타(7건)
  • ▲ 현재까지 전세계적으로 제대혈 이식 활용이 35,000여건 이상 보고되고 있습니다.
  • ※ 출처 parents guide cordblood foundation, 2016년
  • ※ 출처, 미국 3개 가족제대혈은행 이식 사례 데이터 참조(홈페이지)
(조혈모세포 이식 3례, 줄기세포이식(임상연구) 20례)
07년 소아백혈병 판정, 08년 3월 보령제대혈 자가이식(여의도 성모병원, 5세 남아) 후 완치 판정
18년 소아신경모세포종 판정, 18년 6월 보령제대혈 자가이식 시행(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6세 남아)
10년 09월 02일
10년 09월 10일
15년 04월 03일
16년 08월 12일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11년 01월 11일
11년 04월 19일
11년 03월 23일
11년 05월 24일
11년 06월 16일
11년 09월 06일
11년 11월 11일
12년 09월 19일
14년 10월 10일
15년 07월 24일
15년 10월 16일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형제간이식(분당차병원)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보령제대혈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12년 02월 29일 보령제대혈 형제간이식(서울성모병원) 시행
12년 09월 12일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12년 09월 19일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04년 보령제대혈은행 보관(8세 여아) 소아당뇨질환 판정으로 11년 2월 14일 보령제대혈 자가이식(한양대병원) 시행
13년 12월 30일 형제간 이식(분당차병원) 시행
14년 05월 22일 자가이식(분당차병원) 시행
희귀 질환명 증상 및 치료
백혈병
(급/만성 림프구성, 골수성 )
증상 : 혈액암으로 불리우며, 골수의 이상으로 백혈구 생성이 정상보다 많아져 진행 되는 질환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골수 이형성증 증상 : 골수 세포의 이상으로 정상 혈액 생산이 되지 못하고, 백혈병으로 진행되는 질환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다발성 골수종 증상 : 백혈구의 일종인 혈구세포에 발생하는 암으로 환자중 급성 백혈병으로 사망함
*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
신경모세포종 증상 : 교감신경의 신경모세포에 생기는 대표적인 소아암으로 영유아기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암세포의 발생 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 증세에 따라 조혈모세포이식과 항암치료를 병행하여 치료
혈소판 감소증 증상 : 골수의 기능이 상실되어 혈소판 생성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빈혈, 심부전, 위장관 출혈등이 유발되어 사망.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혈구 감소증 증상 : 골수의 기능 이상으로 혈구의 생성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각종 감염증과 출혈이 동반 되어 생명이 위험
*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
재생불량성빈혈 증상 : 골수기능부전으로 조혈모세포수감소와 적혈구, 혈소판 생산이 감소되어 어지럼, 무기력, 각종 감염증과 출혈이 동반되어 생명이 위험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판코니 빈혈 증상 : 아동기에 나타나는 유전질환으로 저체중, 심장,신장,골격계이상을 보이고 검은 반점을 동반함. 백혈병이나, 골수이형증후군으로 전환 될 수 있다.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스테로이드 치료
겸상적혈구 빈혈 증상 : 선천적인 골수 이상으로 낫 모양의 적혈구가 생성되어 전신에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뼈와 관절에 심한 통증이나 종창이 유발되고, 호흡곤란과 흉통이 유발되는 질환으로 생명이 위험 할 수 있다.
* 조혈모세포 자가이식, 동종이식이 시술됨
ADA효소결핍증 증상 : 아데노신 디아미나제효소의 결핍으로 중증 면역부전증후군으로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감염증이 발생하여 사망한다.
* 유전자치료 연구가 진행중,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사례가 나타남
중증합병 면역결핍증
(SCID)
증상 : 면역체계 관여 세포들의 결핍으로 발생하는 유전질환으로 폐렴, 수막염등의 합병증으로 사망함.
* 형제간 조혈모이식이 가장효과적이며, 타인조혈모이식도 가능
만성육아종 증상 : 유전성 면역결핍 질환의 일종으로 백혈구의 일종인 대식세포의 결함으로 유발. 10세이하에 간, 뇌 손상이 동반되어 사망.
* 유전자치료 연구가 진행중, 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사례가 나타남
발달장애
(지적장애, 뇌성마비,자폐증,유전장애(다운),전반적발달장애 등을 통칭함)
증상 : 선천적이던 후천적이던 정상성장을 하지 못하는 장애를 말함
* 물리치료만으로 장애 개선, 최근 자가제대혈이식 치료 임상 시도
고 셔 병 증상 : 지방조직물질이 분해되지 못하고 몸속에 축적되어 폐, 눈, 신장, 심장 및 신경계에 전이되어 합병증을 유발 ( 유전병)
* 조혈모이식의 성공으로 증세 완화
Hunter 증후군 증상 : 성염색체 열성유전으로 지능저하, 청력소실, 색소성 망막변성대두증, 거설증 짧고 굵은 목등 외모를 나타냄
* 조혈모세포이식이 임상적으로 시행되어 증상 완화 되고 있음
Huler증후군 증상: Hunter증후군과 유사하며, 각막혼탁과 녹내장, 난청이 나타남
* 조혈모세포이식이 임상적으로 시행되어 증상 완화 되고 있음
부신피질이영양증 ALD
(로렌조오일병)
증상: 몸속의 지방산이 분해되지 않아 신경세포를 파괴하는 희귀 질환
* 조혈모세포이식으로 55% 성공율을 나타냄
다발성 경화증 증상 :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면역체계이상 질환으로 운동, 언어, 감각, 시력상실 등의 장애를 유발(전신마비 동반)
* 조혈모이식과 스테로이드제의 병용치료 시행, 물리치료 병행
루프스 증상 : 전신 홍반성 루프스는 류머티즘 질환중 하나, 자가면역질환으로 전신에 전이되어 치료가 어려움
* 자가조혈모세포이식으로 치료
알츠하이머 증상 : 노인성치매로 기억, 판단, 언어 및 지적기능의 감퇴로 일상생활능력, 인격, 행동장애를 일으킨다.
* 조혈모이식과 스테로이드제의 병용치료 시행, 물리치료 병행
파킨스씨병 증상 : 뇌세포의 퇴화로 도파민 생성이 되지 않아 운동장애와 같은 신체적 장애를 유발한다.
* 조혈모이식과 스테로이드제의 병용치료 시행, 물리치료 병행
뇌졸증 증상 : 고혈압등으로 인해 뇌의 말초혈관등이 손상되어 충분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뇌세포를 손상시켜 유발되며, 중증으로 진행되어 중풍이 되는 질환
* 최근 임상시험에서 제대혈 이식과 재활 치료의 병용으로 증세 완화 효과 보이고 있음.
외상성 뇌손상 증상 : 교통사고, 추락등과 같이 물리적 충격에의해 뇌의 손상이 유발되어언어, 행동, 기억등의 장애를 초래하는 증상
* 최근 임상시험에서 제대혈 이식과 재활 치료의 병용으로 증세 완화 효과 보이고 있음.
근이영양증 증상 : 근단백질의 결핍으로 근육이 굳어져 마비가 되는 질환. 소아기에 발병하여 점차 근육이 약해져 폐렴등 합병증 발생으로 사망하게 되는 난치병
* 최근 임상시험에서 제대혈 이식과 재활 치료의 병용으로 증세 완화 효과 보이고 있음.
펴기